반응형 전체 글84 오소리 사냥견 닥스훈트 뜻과 혈통 및 고질병 애교 운동량 닥스훈트라는 이름은 독일어의 '오소리 사냥'이라는 뜻이 담겨있다. 굴에 숨은 오소리나 여우를 끌어내고 토끼를 추적하는데 활약했습니다. 오늘은 닥스훈트의 뜻과 혈통 및 고질병, 애교, 운동량을 소개하겠습니다. 닥스훈트 뜻 닥스훈트의 별칭은 위너 독 또는 소시지 독이다. 즉 독일어로 '오소리 개'라는 뜻이다. 스위스 산악 지방의 쥬라하운드가 조상견이며 가슴둘레 사이즈에 따라 스탠더드, 미니어처, 카니헨 등 3가지로 분류된다. 모질에 따라서는 스무드, 와이어, 롱으로 나뉜다. 웰시 코기와 더불어 원통을 연상시키는 비정상적으로 긴 허리와 짧은 다리로 유명하다. 강모종과 장모종 그리고 단모종이 있는데, 인지도는 단모종이 압도적으로 높다. 닥스훈트 혈통 및 고질병 닥스훈트의 원래 혈통은 작은 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 2022. 8. 10. 말라리아는 모기를 통해서 전염된다. 어원과 역사 말라리아는 모기를 통해서 전염됩니다. 이런 당연한 사실이 밝혀진 지 사실 12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말라리아가 왜 걸리는지 자체를 몰라서 인류는 오랫동안 당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오늘은 말라리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말라리아 피해 말라리아는 특히나 온대 지방에서 살던 사람들은 열대지방 사람들보다 말라리아 내성이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그래서 유럽 열강들이 전 세계에 진출하고 저위도의 열대지역을 식민화할 때도 말라리아가 가장 큰 장애물이었습니다. 아메리카 대륙 같은 경우에는 천연두와 마찬가지로 말라리아도 원래는 없었습니다. 유럽인들로부터 다른 질병들과 함께 유입되어 원주민 인구의 90퍼센트 이상을 죽여버리고 침략자인 유럽인들에게까지도 엄청난 피해를 주었습니다. 말라리아 어원 및 흑인 노예 아메.. 2022. 8. 10. 인간을 가장 많이 죽인 동물 모기가 멸종한다면? 말라리아라는 무서운 질병으로 전 세계에서 인간을 가장 많이 죽인 동물은 모기입니다. 만약 모기가 지구에서 멸종한다면 어떻게 될지를 크리스토퍼 유전자 가위, 모기의 생태계 역할, 말라리아 등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모기 서식지 모기는 전 세계에서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물이 있으면 웬만한 조건에서는 서식 및 번식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남극과 북극에서도 모기를 찾아볼 수 있다니 참 대단한 생물인 거 같습니다. 북극에서는 짧은 여름이 다가오면 모기가 떼로 순록에게 몰려들어 흡혈하는 장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죽는 순록은 매년 1%에 달합니다. 어떤 환경에서도 잘 적응하는 모기는 전체 3,500여 종이 넘습니다. 또한 인간을 가장 많이 죽인 동물이 모기입니다. 인간을 가장.. 2022. 8. 9. KBS동물티비 애니멀포유 호랑이 사육사 레전드 근황 호랑이는 고양잇과 맹수로 맹수의 왕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그런 무시무시한 호랑이를 아기 다루듯 다루는 사육사가 한국에 있다고 하는데 그분의 근황을 KBS동물 티비 애니멀 포유를 통해 호랑이 사육사 레전드 근황을 소개하겠습니다. KBS동물 티비 애니멀 포유 호랑이 사육사 레전드 KBS동물 티비 애니멀 포유에서 호랑이 사육사 레전드 편 당시 200만 뷰를 달성한 문진호 님의 근황을 소개하였는데요, 우선 모르시는 분들도 계시기에 문진호 사육사님을 먼저 소개하겠습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맹수의 왕 호랑이의 꼬리를 겁도 없이 당기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가 바로 문진호 사육사입니다. 그는 과거에 호랑이를 아기 다루듯 다뤄 그 화재의 인물이 되었죠. 강아지 쓰담듬듯 호랑이와 사자를 쓰다듬고 배우자의 다리를 베듯 편안하.. 2022. 8. 8. 개의 역사! 강아지는 언제부터 인간의 반려동물이 되었을까? 현재 개는 가축들을 보호하지 않아도 인간들의 보살핌을 받으며 생활한다. 야생에서 생활하던 개는 언제부터 인간의 애완견이 되었는지, 개의 역사를 통해 강아지는 언제부터 인간의 반려동물이 되었을까?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개의 역사 빙하기 이후 인류가 최초로 가축으로 삼은 동물은 개라고 잘 알려져 있다. 진화 경로나, 가축화 과정에 대해서는 많은 다양한 의견들이 있지만 정확한 사실은 알기 어렵다. 다만 개의 조상은 '회색늑대'임을 확실하다. 개와 늑대는 유전자가 99.96% 가까이 일치하며, 약 10만 년 전 회색늑대와 현대의 개는 분화 되었다고 한다. 약 1만 5천 년 ~ 1만 2천 년 전부터 인간에 길들여졌다고 하며, 최소 9천 년 전에는 개를 가축으로 기르고 있었다고 한다. 개의 가축화 개는 .. 2022. 8. 5. 골든 레트리버 장점과 단점 분양가격 및 목욕 주기와수명 정보글 골든 레트리버는 영국의 스코틀랜드 지역이 원산지입니다. 이름대로 윤기가 흐르는 크림빛 또는 금빛의 풍성한 털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오늘은 골든 레트리버의 장점과 단점, 분양 가격 및 목욕 주기와 수명에 대한 정보를 소개하겠습니다. 골든 레트리버 장점 골든 레트리버는 대체로 온화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격성이 매우 낮아서 먼저 공격을 당하더라도 대부분 참습니다. 사회성도 매우 높아 안내견으로서 레트리버 견종을 매우 선호하고 있습니다. 가끔 안내견으로서 부적합 판정을 받는 경우도 있는데, 그 이유는 너무 친밀하게 굴어서입니다. 또한 똑똑한 경종 5위안에 포함되는 매우 높은 지능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동물전문가의 말에 따르면 특별한 훈련 노하우가 없어도 지능이 높아 쉽게 가르칠 수 있다고 합니다. 골든.. 2022. 8. 4. 푸들 원산지 및 특성 푸들의 원산지는 독일이다. 프랑스인들이 좋아하는 강아지이며 프랑스를 대표하는 이미지 중 하나이기도 하다. 성격, 크기, 모질, 지능에 이르는 현대 목적견의 요구조건을 거의 모두 충족시키기 때문에 매우 선호되는 반려견이다. 푸들 특성 푸들은 한국에서 2번째로 많이 기르는 반려견이다. 참고로 1번째는 몰티즈이다. 무엇보다도 큰 특징은 대부분의 개, 고양이와 다르게 푸들은 털이 거의 빠지지 않는다. 때문에 털 날림 문제, 털 알레르기 문제에서 자유로운 편이다. 털 알레르기는 일반적으로 털 자체에 알레르기가 있는 게 아니라 털을 통해 전해지는 각질이나 기타 물질들로 인해 발생되는 증상인데 애초에 털이 덜 날려 그러한 물질을 크게 퍼트리지 않으니 어지간히 예민하지 않은 이상 괜찮은 편이다. 따라서 알레르기 반응이.. 2022. 8. 3. 강아지 사료 등급 5가지 등급 및 적합한 사료 찾는 방법 시중에는 수많은 강아지 사료들이 있으며, 강아지 사료 등급에 대한 글들이 많습니다. 실제로는 강아지 사료에는 등급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오늘은 강아지 사료 등급 5가지 등급 소개 및 적합한 사료 찾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강아지 사료등급 강아지 사료에는 등급이 없다고 했지만, 인터넷이나 견주들 사이에서 통용되는 등급은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6단계로 급이 나누어져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아무런 규제도 없으며, 오가닉 및 내추럴로만 나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강아지 사료 등급 5가지를 설명하겠습니다. 1등급 오가닉, 2등급 홀리스틱, 3등급 슈퍼 프리미엄, 4등급 프리미엄, 5등급은 그로서리(마트용)로 일반 마트에서 판매하는 사료입니다. 강아지 사료 1등급 오가닉, 2등급.. 2022. 8. 2.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 반응형